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은행 세금우대한도 1인당 얼마나 될까?

by 금융에 관한 정보 2020. 10. 1.
반응형

여러분들은 은행의 1인당 세금우대한도는 얼마인지 알고 계신가요?

세금우대한도, 비과세종합저축 등의 처음 듣는 어려운 단어의 말들을

소중한 내 자산을 은행에 저축하러 가시게 되면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입니다.

 

보통 은행직원들이 세금우대를 사용해드릴까요? 라고 먼저 물어보시죠.

그런데 아무것도 모른채로 세금우대한도에서 대해서 얘기를 듣다보면 헷갈리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 세금우대한도에 대한 내용과 1인당 얼마나 혜택을 볼 수 있는지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세금우대에 가입해드릴까요?

 

1. 세금우대를 받으면 뭐가 좋을까?

 

기본적으로 은행에서 정기예금이나 정기예탁금, 정기적금, 자유적립적금 등의 상품을

가입할 때 세금우대에 가입 또는 해드릴까요 등의 말들로 예금을 하기위한 고객에게 묻습니다.

왠지 처음 들으면 나는 단지 저축만 하러 왔을 뿐인데, 저런걸 왜 묻는지,

가입하는 절차가 까다롭고, 어려워서 필요없는 것에 가입하는 것이 아닌지

별의 별 생각들이 드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은 고객의 자산을 이롭게 해주는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써

불리한 조건으로 고객에게 상품 가입을 권유하거나 권유해서도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금우대는 무조건적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유리한 부분이기에 가입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흔히들 어른들이 이야기하는 것중에 15.4%라는 말을 들어보신적이 있을겁니다.

바로 이 부분은 소득세 및 주민세를 예금을하고 발생한 이자에서 띄어가는 것이죠.

 

세금을 조금 더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세금입니다.

은행원들이 말하는 세금우대가입 권유는 바로 이 부분에 대해서

떼어가는 세금을 절감시켜드릴까요? 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보시면 되는겁니다.

그러므로 세금우대를 받게 되면 예금이 만기가 되었을 때,

내가 받아 갈 수 있는 금액이 더 커지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2. 세금우대한도는 얼마나 될까?

하지만 은행에 예금을 가입하러 간 고객들은 이런 세금우대혜택을 무조건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세금우대혜택을 받기 위해선 두가지의 기본조건이 필요한데, 바로 내국인이라는 것

만20세 이상이 되어야지만 세금우대의 혜택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위 두가지의 요건이 충족되면 본격적으로 은행에서 권유하는 세금우대의 혜택에 가입할 수가 있는데

이 세금우대를 받는 것에는 한도가 있습니다. 

바로 1인당 3,000만원까지입니다.

여기까지는 만 64세가 되시는 분들에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만 그 이후의 나이가 되시는

만 65세 이상일 경우 5,000만원의 추가적인 세금우대혜택이 주어지게 됩니다.

요약 정리해서 보여드릴까요?

 

3. 요약정리

  만20세 만65세 비고
세금우대예탁금 3,000만원 3,000만원 -
비과세종합저축 - 5,000만원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 기타사항에 해당하는경우 나이와 관계없이 받을 수 있음)
합 계 3,000만원 8,000만원  

 

그러면 1인당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세금우대한도는 어떻게 될까요?

모두 합산하여 1인당 8,000만원까지의 세금우대혜택을 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단, 나이가 각 혜택들마다 그 범위안에 들어가 있으면 말이죠.

그렇다면 만64세가 되지 못하는 분들은 추가적인 여유자금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8,000만원까지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것일까요?

방법이 있습니다. 궁금하시다면 다음 블로그 포스팅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