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실손보험에서 급여와 비급여 뜻,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금융에 관한 정보 2022. 2. 17. 23:30
반응형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다치거나 질병에 걸려서 병원을 방문하게 됩니다. 이때 실손의료비 보험(=실손보험)을 청구하기 위해서 병원에 병명코드가 적혀있는 진료확인서 혹은 진단서, 영수증 등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진단서나 진료확인서에 보면 급여나 비급여 항목에 따라 나뉘어져 실손보험금을 수령할 수도 있고 수령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기곤 합니다. 그렇다면 급여와 비급여의 뜻은 무엇이고 항목에는 어떤게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손보험에 대해서 알기 전 알아야할 건강보험

건강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은 급여와 비급여의 뜻을 알기 전에 건강보험이라는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법한 단어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건강보험은 국가에서 국민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사회보장제도로써 국민의 질병이나 부상 등에 대한 진료비 부담을 줄이고자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2. 급여와 비급여

진료비 항목 급여 4.비급여
일부 본인부담금 3. 전액본인부담금
1. 본인부담금 2. 공단부담금

이 건강보험에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청구되는 청구서에서 진료비의 일부는 항목에 따라 지원이 가능하기도 한데, 이 부분에서 급여와 비급여 항목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급여항목은 '일부 본인부담금''전액본인부담금' 두 종류가 존재하는데, 특히 이 일부 본인부담금 안에는 다시 "본인부담금+공단부담금"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참고로 일부본인부담금 안에 본인부담금이 있는 것이라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다시 정리해서 "일부 본인부담금" 안에 있는 본인부담금은 건강보험공단에서 금액 지원이 되지 않는 부분이고 공단부담금 부분이 건강보험공단에서 금액이 지원되는 부분이라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씨가 감기에 걸리게 되어 병원에서 검진을 받게 되었는데, 진료비 청구서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청구에 보니 급여항목에 공단부담금이 포함되어 있어서 실제 병원에서 요구하는 금액보다 조금 더 작게 진료비를 납부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건강보험에서의 급여항목 중에 공단부담금에 충족하는 진료가 있어, 건강보험으로 A씨가 내는 진료비가 작아지는 것입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 급여 뜻 : (1.본인부담금)+(2.공단부담금)+(3.전액본인부담금)으로 구성되어 있어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항목.

- 비급여 뜻 : (4.비급여)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고 건강보험의 혜택을 전혀 적용받지 못하는 항목.

 

3. 실손보험이 보장해주는 항목 '비급여'

 

 

서론이 길었습니다. 급여와 비급여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았기 때문에 이제는 실손보험이 보장해주는 부분인 비급여 항목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부분에 의하면 건강보험공단에서는 급여-공단부담금만을 지원해주었지만, 실손보험이 있는 경우에는 전혀 혜택을 받지 못하였던 비급여 항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비급여 항목중에서도 실손보험이 보장해주지 않는 부분들도 존재합니다. 이 부분은 본인이 가입한 혹은 가입을 예정하고 있는 보험사의 실손보험의 약관이나 상담원을 통하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최종적으로는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건강보험과 실손보험을 통해서 지원가능한 질병이나 부상 항목에 대하여 서 두군데 모두 지원을 받으실 수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래를 확인하여 조금 더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료비 항목 급여 4.비급여
(실손보험에서 지원)
일부 본인부담금 3. 전액본인부담금
1. 본인부담금 2. 공단부담금
(건강보험에서 지원)

(단, 건강보험공단이나 보험사에 따라 지원항목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음)

 

 

반응형